카테고리 없음

2023년 4대보험 요율 정리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케잌카페 2023. 11. 14.

2023년 4대보험 요율 정리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23년 국민연금 보험료가 7월을 기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정확히 말씀드리면 상한선 변경으로 533만 원 이상 590만 원 이하의 급여를 받는 직장인들의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되었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과 국민연금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을 정리하여 노후를 준비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물가상승률과 함께 상승하는 연금수령액 노령연금 지급금액 100만 원 시대 나의 예상 수령액은? 국민연금법에 따라 일부 대상자들은 납부해야하는 보험료가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국민연금법제 88조연금보험료의 부과 징수 등 및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조, 제5조기준소득월액 및 적용기간에 의거하여 22년 대비 23년도의 수익이 변동한 근로자에 대하여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변경하였기 때문입니다.

 



노령연금 지급금액 100만 원 시대

국민연금공단의 7월 통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가입자 가운데 20년 이상 보험료가 납부한 그들이 받는 월평균 노령연금이 2023년 1월에 처음으로 100만 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반면 보험료 납부기간이 1019년인 수급자들의 같은 월평균 노령연금은 422,132원에 그쳤다고 하는데요 국민연금은 가입기간이 길수록, 납부액이 많을수록 연금액이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연마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연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오래 낼수록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현재 연금을 받고 계신 수급자 모두 올해 1월부터 5.1 인상된 연금액이 지급됩니다. 따라서 노령연금 지급금액 100만원 이상을 받고 싶다면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늘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물가상승률과 함께 상승하는 연금수령액

국민연금에 대한 불맨소리가 많습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전 국민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공적연금이라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면을 생각하는 것보다는 좋은 면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직장을 다니고 있었는데 국민연금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해서 국민연금 보험료가 납부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생각이 오히려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장점을 생각해본다면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납입금액보다. 더 많은 연금을 수령할 수 있어요. ㆍ물가상승에 따른화폐가치 하락을 보전할 수 있어요.

 



2023년 고용보험 요율표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함께 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개선 및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실업예방을 위하여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실시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입니다. 실업급여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개개인별로 0.9씩 부담합니다.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의 경우 인원에 따라 요율이 상이하며 사업주가 부담하게 됩니다.

우선지원 대상기업은 제조업 500인 이하, 광업 300인 이하, 건설업 300인 이하 등의 사업장이 해당됩니다.

2023년 건강보험 요율

국민건강보험은 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많은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가 내고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를 관리운영하다가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상호 간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2023년 건강보험의 총 보험요율은 7.09로 2022년의 6.99에 비해 0.1 인상되었습니다.

사업장가입자의 경우는 본인이 3.545, 사용자가 3.5454.5를 개개인별로 매월 부담하게 됩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는 가입자 본인이 전액 부담하게 됩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2023년 점수당 금액은 208.4원으로 2022년 대비 3.1원이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산재보험 요율표

산재보험은 산재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책임을 지는 의무보험으로 원래 사용자의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사업주로부터 소정의 보험료가 징수하여 그 기금으로 사업주를 대신하여 산재근로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2023년 사업종류별 산재보험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 4대보험 요율을 정리해 봤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노령연금 지급금액 100만 원

국민연금공단의 7월 통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가입자 가운데 20년 이상 보험료가 납부한 그들이 받는 월평균 노령연금이 2023년 1월에 처음으로 100만 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물가상승률과 함께 상승하는

국민연금에 대한 불맨소리가 많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물가상승률과 함께 상승하는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함께 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개선 및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실업예방을 위하여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실시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입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