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생활 속 속설 모음 100가지 (속설 사전)
나귀 샌님 쳐다보듯 눈을 치떠서 말똥말똥 쳐다본다는 뜻 나귀에 짐을 지고 타나 싣고 타나 나무에 오르래고 흔들리는 격 나중 난 뿔이 우뚝합니다. 후배가 선배보다. 나을때 쓰는 말 낙타 바늘 구멍 찾는 격 아주 찾기 까다로운 것을 비유하는 말 난 거지 든 부자 남산골 샌님 남의 눈에 눈물 내면 제 눈에는 피가 난다. 남의 다리 긁는다. 남의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을 해야하는 뜻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표제어의 문법 범주
그리고, 표제어의 문법 범주도 중요합니다. 통상 표제어들의 외국 말 단위와 범위는 사전마다. 다른데요, 국어사전에서는 거의 모든 표제어의 문법 범주와 연관된 원칙으로 한 단어 한 표제어 원칙을 명시합니다. 즉 표제어의 문법 단위는 주로 단어가 중심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될 경우 현행 현행 학교문법에서 품사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한 어미나 접사는 표제어가 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이 한 단어 한 표제어 원칙은 사전의 편찬 목적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됩니다.
그러니까 표제어의 문법 범주는 단어를 기본으로 하되, 단어 이하의 접사, 어미, 어근, 축약형의 준꼴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한편 한 단어 한 표제어 원칙은 사전 편찬자 입장에서는 표제어 선정 기준이 명쾌해서 좋겠지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그렇지 못합니다.
혀와 연관된 관용구
1 혀가 꼬부라지다. 병이 들거나 술에 취하여 발음이 똑똑하지 아니한 것을 의미합니다. 2 혀가 돌다. 말을 할 때 혀가 놀려지다라는 의미입니다. 3 혀가 내둘리다. 몹시 놀라거나 어이없어서 말을 못 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4 혀가 굳다. 놀라거다. 당황하여 말을 잘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5 혀가 짧다. 발음이 명확하지 아니하거나 말을 더듬는 것을 의미합니다. 혀 짧은 소리 6 혀를 굴리다.
낮잡는 뜻으로 말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7 혀가 빠지게 몹시 힘을 들여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8) 혀가 돌아가다. : 발음을 또박또박 올바르게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에서 개발한 전자 혀
2020년 울산과학기술원 연구팀은, 20여년 전 일본 규슈대 기요시 도코 교수가 처음 개발한 5가지 맛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을 체감하는 전자혀보다. 한 가지가 더 추가된 떫은맛도 느낄 수 있는 전자혀를 개발했습니다. 타닌과 같이 떫은맛을 내는 분자가 혀표면에 있는 단백질과 만나 엉겨 붙고, 이렇게 개발된 물질이 혀의 표면을 자극해서 체감하는 감각인 떫은맛은 원래 미각에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연구편은 떫은맛을 내는 분자를 만나면 물질을 만들어내는 뮤신을 이용하여, 이 물질이 만들어지면서 전기 신호가 달라지고 전기판이 이 신포를 감지해 떫은맛을 알아챌 수 있는 원리입니다. 이에 떫은맛을 지닌 와인이나 덜 익은 감, 홍차 등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종류에 따라 떫은맛을 구별해 냈습니다.
어휘 자료집이나 기타 교육용 어휘 목록 등과 같은 어휘 목록 활용
두 번째는, 말 그대로 기존에 있는 어휘 자료집(혹은 단어장)의 어휘 목록이나 기관 등에서 추출한 학습용 어휘 목록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장점이야 물론 손쉽게 표제어 목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지만, 어휘 목록 선정 기준이나 목록 자체에 대한 신뢰성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그것을 활용해야 이후에 만들어질 새 사전의 이용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예전 사전의 표제어 활용
먼저, 예전 사전의 표제어 목록을 재활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예전 사전 표제어를 답습하는 것은 사전 사용자와 현실 언중의 외국 말 사용 양상을 고려할 때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님은 누구나 아실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새 사전에는 실생활에서 쓰이는 어휘가 등재되어 있지 않거나, 유령어가 계속 새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등의 부작용을 안고 가야 하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 사전 편찬을 할 때에는 예전 사전을 검토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하는데요, 보통 표제어 구성과 정보 처리 방법을 일부 수정하거나, 완전히 버리거나 전격 수용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참조하고 있다고 합니다.
꼬리와 꽁지 정리
여기까지 꼬리와 꽁지라는 말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꼬리라는 말의 기본적 의미는 동물의 꽁무니에 가증가하고 길게 내밀어 뻗친 부분을 뜻하는 말이고, 꽁지라는 말의 기본적 의미는 새의 꽁무니에 있는 기다란 깃을 뜻하는 말이라는 것을 기억하시면 꼬리와 꽁지라는 말을 잘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에게 친근한 단어라서 그런지 관용구와 속담도 각양각색으로 있으니 여러 번 읽어 보시고 적절한 문맥에 올바르게 잘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표제어의 문법 범주
그리고 표제어의 문법 범주도 중요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혀와 연관된 관용구
1 혀가 꼬부라지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혀와 연관된 관용구
2020년 울산과학기술원 연구팀은, 20여년 전 일본 규슈대 기요시 도코 교수가 처음 개발한 5가지 맛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을 체감하는 전자혀보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