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증여세 폐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부모 혹은 친인척이 사망하게 되면 고인이 남긴 재산을 상속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재산을 상속받으면 세금이 발생하게 되지만 이를 상속세라고 하며, 상속세는 국세에 해당합니다. 상속세는 부의 무상 이전이라는 점에서 높은 세율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속세는 상속받는 사람에 따라 면제 한도액 내에서 세금 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절세가 가능합니다. 본 포스팅을 끝까지 보신다면 상속세에 대한 개념과 절세방법을 분명하게 알게 될 것입니다.
상속세 세율
상속세는 사망일의 다음 달부터 6개월 내에 상속세를 관할 세무서에 자진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부동산을 상속한 경우는 사망일로부터 6개월 내에 취득세를 관할 구청에 자신 신고 및 납부를 해야합니다. 상속세와 취득세의 기한은 차이가 있고, 신고 및 납부 기관이 다르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신고는 상속자산 분할 협의 아니면 협의가 안 된 경우에는 법정상속분이 기준이 됩니다. 자신 시고 기한을 넘기면 20의 가산세가 붙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상속세는 상속재산에 따라 나뉘어 집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 26조 상속세 세율에서 보면 아 상속세는 제25조에 따른 상속세의 과세표준에 다음의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이하 상속세산출세액이라 한다으로 합니다. 상속세 계산이 어렵다면 세무사를 통하여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홈택스에서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상속세 과세표준신고 및 자진납부계산서 상속세 과세가액 계산명세서 상속인별 상속자산 및 그 평가명세서 채무공과금장례비용 및 상속공제 명세서 배우자 상속공제 명세서 상속개시 전 12년 이내 재산처분채무부담 내역 및 사용처 소명명세서 영리법인 상속세 면제 및 납부명세서 가업상속공제신고서 등 그 밖에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의하여 제출하는 서류 등 필수 서류는 총 6개에 달하며, 필요한 경우 2개의 서류를 추가로 준비하여야 합니다.
상속세는 세율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최대한 상속세를 덜 납부하기 위해서는 공제 명세서를 꼼꼼하게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상속세 공제 종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절세가 가능한 방법들을 적용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배우자 공제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될 때 피상속인사망자의 배우자가 생존해 있으면 배우자 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는 민법상 배우자를 가리키며, 사실혼 관계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배우자 상속 금액 계산식 상속액 배우자가 상속받은 상속재산가액사전증여재산가액 및 추정상속 재산가액 제외 배우자가 승계하기로 한 공과금 및 채무액 배우자 상속자산 중 세금 미과세 재산가액 배우자 공제는 적어도 5억 원에서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속세 신고에서 가장 큰 절세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상속 공제 한도액은 기본 5억 원이기 때문에, 만약 배우자가 상속받은 재산이 없거나 5억 원 미만을 상속받았다면 상속세 면제 한도액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속세가 면제됩니다.
상속 순위의 갈음
태아는 상속순위를 결정할 때 이미 출생한 것으로 봅니다. 같은 순위의 상속인이 여러명 있다면 피상속인과 촌수가 가까운 자가 상속인이 되고, 촌수가 같은 상속인이 여러명인 경우에는 공동 상속인이 됩니다. 배우자는 직계비속과 같은 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고, 직계비속이 없습니다.면 2순위인 직계존속과 공동상속인이 됩니다. 직계비속과 직계존속이 모두 없습니다.면 배우자는 단독 상속인이 됩니다. 상속인이 될 직계비속 아니면 형제자매가 상속개시 전에 상망하거나 결격자가 된 경우에 그 직계비속이 있는 때에는 그 직계비속이 사망하거나 결격된 자의 순위에 갈음하여 상속인이 됩니다.
지금까지 상속세에 대한 개념과 납부의무자와 과세대상 범위, 상속순위 및 상속세율, 상속세 신고방법 및 납부방법, 그리고 상속세를 절세하기 위해 면제 한도액과 공제 종류에 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상속세는 세율이 높은 만큼 꼼꼼하게 따져보아야 절세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어렵고 복잡하다고 해서 대충 해서는 원치 않는 세금을 더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상속세 공제 종류를 잘 확인하고 적용받음으로써 상속세에 대한 절세를 이루시길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상속세 세율
상속세는 사망일의 다음 달부터 6개월 내에 상속세를 관할 세무서에 자진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배우자 공제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될 때 피상속인사망자의 배우자가 생존해 있으면 배우자 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배우자 공제
태아는 상속순위를 결정할 때 이미 출생한 것으로 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